미암일기의 필자이자 조선 중기의 학자 유희춘의 종가와 박물관이 있는 담양 장산마을을 다녀왔다. 오랜 고택과 정자, 박물관의 멋진 배치가 한폭의 아름다운 그림이다. 특히 연못 한가운데 서 있는 모현관은 그 규모나 배치, 건물양식 등 여러 면에서 다른 곳에서 보기 어려운 이색적인 모습으로 눈길을 모은다.
자그마하지만 독특한 양식의 이 건물은 한국전쟁 직후 미암일기의 가치를 인식한 서울대총장, 전남대총장, 광주시장 등이 참여한 유적보존회가 후손과 함께 건립한 것이라 한다. 유서깊은 종택과 사당 앞에 기하학적 모양을 담은 서양식 석조 건물을 짓기로 한 이들의 미학과 결단이 놀랍다. 모현관이란 글씨는 허백련이 썼다 하는데 단아하면서도 힘이 있다. 돌에 새긴 글씨가 생각보다 건물과 잘 어울려 굳이 나무 편액을 달려 하지 않은 유연함이 신선하게 와닿는다.
미암일기는 유희춘이 평생 쓴 일기인데 현재는 1567년부터 1577년까지 쓴 일기 11권이 전해져온다. 조선중기의 사회상이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특히 사대부 집안의 부부간 역할을 보여주는 내용들이 조선가족사를 연구하는 이들이 종종 언급하곤 한다. 미암의 부인인 송덕봉은 유교적 가치에 얽메이지 않고 자신의 의사를 매우 분명하게 내세운 당당한 여성이었고 자신의 문집을 남길 정도로 학식도 남달랐다. 입구의 미암박물관에 미암일기를 비롯한 여러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다.
소나무들이 울창한 먼산을 배경으로 수백년 역사가 여러 건물 속에 쌓여있는 이 마을의 모습이 정겹다. 종택 뒤에는 16세기 건축양식과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있는 벽화가 담긴 사당이 있고 언덕위의 단아한 정자에는 이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던 자취가 서려있다. 종택과 박물관 사이의 연못 속에는 한말과 일제하, 전쟁기의 힘들었던 세월이 뭍혀있을 것이다. 서양식 모현관과 한식풍의 박물관은 20세기 문명개화의 힘이 이곳에까지 미친 자취일 터인데 이런 궁벽진 곳을 찾는 이가 점점 없어지는 21세기에는 어떤 자취와 이야기가 이 공간에 새로이 덧붙여질 수 있을까 궁금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