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Books 저서

저역서

단독저서

박명규. 2012. 『남북경계선의 사회학』. 창비.

박명규. 2009. 『국민, 인민, 시민』. 소화.

박명규. 1997. 『한국 근대 국가 형성과 농민』. 문학과 지성사.


편저·공저  

박명규, 박영호, 김상준, 전재성, [한반도 평화 신로드맵 – 평화공존의 중간단계 구상], 나남, 2022.

박명규‧이재열‧한준‧이원재‧강정한‧임이숙. 2019. 『커넥트파위』. 포르체.

박명규‧이우영 편. 2019. 『청탁금지의 법과 사회』. 경인문화사.

박명규, “탈식민주체의 형성과 분열: 민족개념의 변용과 전유,” 하영선, 손열 편,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개념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박명규‧이재열 편. 2018.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 한울. (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박명규‧김홍중 외. 2018. 『꿈의 사회학』. 다산출판사. (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박명규‧백지운 편. 2017. 『중국 일상 속 북한 이미지(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33)』. 진인진. (2018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박명규‧서호철 외. 2016. 『주제어로 본 한국 현대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김경일‧박명규 외. 2016. 『사회사/역사사회학』. 다산출판사.

박명규‧백지운 편. 2016. 『양안에서 통일과 평화를 생각하다』. 진인진.

Myoungkyu Park. 2016. “Semantic Approach for Inter-Korea Reconciliation: Reflection on Conceptual Division and Political Divergence”. in Kim, Mikyoung (ed.). Routledge Handbook of Memory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Routledge: London.

Myoungkyu Park. 2015. “From Shame to Sympathy”, Margrit Pernau et al.  Civilizing Emotions: Concepts in Asia and Europe 1870-1920.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김병로‧김병연‧박명규. 2015. 『개성공단 – 공간평화의 기획과 한반도형 통일프로젝트』. 진인진.

박명규‧정은미‧장용석. 2015. 『북한사회변동 2014: 시장화, 불평등, 경제개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오코노기 마사오‧박명규‧조영남‧신범식‧김영희. 2015. 『동북아 국제정치 질서, 어디로 가나』. 푸른역사.

Myoungkyu Park. 2014. “How Concepts Met History in Korea’s Complex Modernization: New Concepts of Economy and Society and their Impact” Hagen Schulz-Forgerg (ed). A Global Conceptual History of Asia, 1860-1940. Pickering & Chatto [United Kingdom].

김병로‧박명규‧송영훈. 2014. 『북한주민 통일의식 2008-201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장용석·정은미·박명규. 2014. 『북한사회변동연구: 시장화, 불평등』.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명규‧김병연‧김병로‧정은미. 2013. 『남북통합지수 2008-2013 변동과 함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평화인문학연구단 편. 2013. 『평화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아카넷.

정근식‧씨에리종 공편. 2013. 『한국과 중국의 사회변동 비교연구: 서울대 북경대 공동연구』. 나남출판.

박명규‧김병연‧전재성‧장용석‧송영훈. 2013.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중앙SUNDAY 기획. 2012. 『한국사회대논쟁』. 메디치미디어.

박노자‧이혜경‧박명규 외. 2012. 『개념의 번역과 창조 : 개념사로 본 동아시아 근대』. 돌베개.

박명규 외. 2012. 『東アジア市場統合の探索 : 日中韓の眞の融和に向けて』. 晃洋書房 [도쿄].

박명규‧김병로‧강원택 외. 2011.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명규‧전현준‧정성장 외. 2011.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정성』.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박명규‧김병로‧김수암. 2011. 『노쓰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박명규‧박상섭‧박승관 외. 2011.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2』.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박명규‧정근식‧정진성‧조정우‧김미정‧정준영. 2011.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대 출판문화원.

Park, Myoung-kyu, Bernard Seliger, Sung-Jo Park and Peter Beck (eds). 2010. Europe-North Korea: Between Humanitarianism and Business?. LIT Press [Germany].

박명규‧이근관‧전재성 외. 2010. 『연성복합통일론』.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김병연‧박명규‧김병로‧정은미. 2009. 『남북통합지수, 1989-2007』.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김병로‧김병연‧박명규‧정은미. 2007. 『남북통합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박명규‧김필동‧함인희‧한준. 2007. 『한국사회학회 50년사』. 한학문화.

김병로‧김병조‧박명규‧서호철‧은기수‧정은미. 2007. 『2007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권태억‧박명규 외. 2005. 『한국근대사회와 문화 2: 1910년대 식민통치정책과 한국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권태환 편저. 2005. “북경의 조선족 개별 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2004. “한국 사회학의 전개와 분과학문으로서의 제도화”. 『사회학 연구 50년』. 혜안.

박명규‧서호철. 2003. 『식민권력과 통계: 조선총독부의 통계체계와 센서스』.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명규 외 13인(한국사회사학회 편). 2003. 『지식변동의 사회사』. 문학과 지성사.

김경일‧박명규 외. 2003. 『한국사회사상사연구』. 나남출판.

박명규. 2001. “식민지 역사사회학의 시공간성에 대하여”. 석현호‧유석춘 외. 2001. 『현대한국사회성격논쟁: 식민지, 계급, 인격윤리』. 전통과 현대.

남북나눔운동 연구위원회. 2000. 『21세기 민족화해와 번영의 길 – 남북기본합의서의 이행을 중심으로』. 크리스챤서적.

신용하‧박명규‧김필동. 1995. 『한국 사회사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한국사회학회 편. 1994. 『21세기의 한국사회학』. 문학과 지성사.


번역서

루이스 A. 코저. 1979. 『社會思想史(Masters of Sociological Thoughts)』. 신용하 박명규 공역. 一志社. 시그마프레스. 한길사(2018)

윤근섭‧김영기 외. 1993. 『현대사회학의 이해』. 형설출판사.

Paper/ Essay/ Book Chapter

박명규, 2021. “청년이 보는 2030 세계” World Report in 2030 조사결과 분석 https://www.unesco.or.kr/assets/data/report/EaoPe8fGVR1gnQJ5rMr3Oy2aUlcVJ9_1640235979_2.pdf

박명규, 2021. “디지털 코로나 시대 지적도덕적 연대의 의미”, UNESCO Korea Issue Brief 6 https://www.unesco.or.kr/assets/data/report/XcUpAw519vdXpx0Nafk6vWIPmiSiXp_1639535622_2.pdf

박명규, 2021. “진보여당 시기 헤게모니 문제와 도전”, 신한대 국제학술회의

박명규, 2020. “위험사회, 포스트휴먼 지평, 인간의 책임,” 『지식의 지평』. 29: 103-130.

박명규, 2020, “21세기 평화학의 네번째 흐름”, [통일과 평화]

박명규, 2019, “복잡한 바둑판 – 2019 한반도 전망” [코리아리포트] 5

박명규, 2019, “청탁금지법과 한국사회: 효과와 과제,” [청탁금지의 법과 사회], 경인문화사. 281-302.

박명규, 2019, “31운동의 지나간 미래”, 31운동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 발표문

박명규, 2019, “레트로토피아 시대의 한반도평화”, 장신대 국제학술심포

박명규, 2018, “사회적 가치의 다차원적 구조”,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 한울, 14-52.

박명규, 2018, “탈식민주체의 형성과 분열: 민족개념의 변용과 전유,” [냉전기 한국사회과학개념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41-185.

박명규, 2018, “평화와 화해: 책임윤리와 심정윤리의 간극,”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명인문화사, 137-152.

박명규, 2018, “문명과 촛불,” 『문명과 경계』. 창간호, 220-241.

박명규, 2018, “꿈, 희망, 그리고 사회학”, [꿈의 사회학], 다산출판사. 4-22.

박명규, 2018. “말의 격랑으로 읽는 촛불,” 『새국어생활』. 28권 1호: 113-125

박명규, 2017, “디지털 환경에서의 일/노동 개념: 지속, 변화, 긴장,” [ 21세기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한국노동연구원, 13-39.

박명규, 2016. “시민 만들기와 시민 되기”, 『지식의 지평』. 제20호: 1-15

박명규‧임수진. 2015. “연대과학기술대학의 비전과 실제: 국제성, 민족성,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7(1): 135-175.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박명규. 2015. “막스 베버의 사회이론과 한반도 통일역량”. 『저스티스』 146(2) 39-51. (한국법학원)

박명규, 2015. “통일에 대한 남북한의 인식”. 『지식의 지평』. 제19호: 1-17.

Myoungkyu Park, 2014, “How Concepts met History in Korea’s Complex Modernization: New Concepts on Economy and Society and its Impacts,” in Hagen Schulz-Forberg ed., A Global Conceptual History of Asia 1860-1940, Pickering & Chatto.

박명규‧백지운. 2013. “21세기 한반도발 평화인문학의 모색”. 『동방학지』 161: 39-7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박명규, 2012. “사회 개념의 수용과 의미,” 허수 외, 『개념의 번역과 창조』 , 돌배게.

Park Myoung-Kyu. 2012. “Conceptual history in Korea: Its development and prospects”.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Concepts 7(1): 36-50.  (Berghahn Books Inc.)

조형근‧박명규. 2011. “식민권력의 식민지 재현전략: 조선총독부 기관지 『朝鮮』의 사진이미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90: 175-219.  (한국사회사학회)

박명규‧이상신. 2011. “현상과 이미지 – 북한 이미지의 측정과 분석”. 『통일과 평화』 3(1): 129-173.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박명규, 2010. “통일연구와 통합지수,” 『통일과 평화』 2권 2호: 3-34.

Myoungkyu Park, 2010. “The EU and Inter-Korean Relation: Agency, Method and Theory,” in Myoung-Kyu Park, Bernard Seliger, Sung-Jo Park ed., EU-North Korea: Between Humanitarianism and Business, LIT.

박명규, 2010. “21세기 한반도 미래구상과 연성복합통일론” Korea Policy No.2.

박명규, 2009. “다문화주의와 남북관계:이론적 쟁점과 현실” 『국제이해교육연구』 4권 2호.

박명규. 2009. “네이션과 민족: 개념사로 본 의미의 간격”. 『동방학지』 147: 27-6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박명규‧김백영. 2009.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경쟁: 조선총독부와 미국 개신교 선교세력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82: 5-39.  (한국사회사학회)

박명규. 2009. “남북관계와 비대칭적 분단국체제론”. 『통일과 평화』 1(1): 3-28.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박명규. 2008. “한국 내셔널 담론의 의미구조와 정치지향”. 『한국문화』 43: 245-262.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박명규, 2008. “한국사회학 60년-지성사적 성취와 학사적 과제”, 『지식의 지평』, 제4호: 172-189 

박명규, 2007. “21세기 한반도와 평화민족주의,” 이병천 외, 『다시 대한민국을 묻는다』, 한울

박명규. 2006. “한국 사회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이론적 쟁점”. 『역사비평』 75: 76-91.

박명규. 2006. “미래학적 논의의 재미와 한계(앨빈 토플러 ‧ 하이디 토플러 『부의 미래』 청림출판 2006)”. 『창작과비평』 134: 298-301.

박명규. 2006. “‘오만한 자임’과 ‘겸허한 성찰’의 거리(신정완 외 『우리 안의 보편성』, 한울아카데미 2006)”. 『창작과비평』 133: 276-279.

박명규. 2006. “발본적 물음, 성실한 탐구, 남겨진 숙제(김원『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 이매진 2005)”. 『창작과비평』 132: 318-321.

박명규. 2006. “위험한 선택의 기회비용(김형아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일조각 2005)”. 『창작과비평』 131: 322-325.

Myoungkyu Park, 2006.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Studies in Korea,”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 1 No. 1

John LIe and Myoungkyu Park, 2006. “South Korea 2005: Economic Dynamism, Generational Conflicts, and Social Tranformations,” Asian Surveys Vol. 46. No.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박명규, 2006  “21세기 한국학의 시공간성과 동아시아” [21세기 한국학의 진로모색], 서울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학술회의 논문집.

박명규. 2006. “분단체제, 세계화, 그리고 평화민족주의”. 『시민과 세계』 8: 416-430.  (참여사회연구소)

박명규. 2005. “Emergence of “the Social” in Modern Korea”. 『Korea Journal』 45(3): 137-159.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the UNESCO)

박명규, 2005. “식민국가의 개념” 권태억 외, [한국근대사회와 문화 2],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명규. 2004. “세계화와 국민국가: 동아시아적 시각”. 『황해문화』 42(봄호): 163-176.  (황해문화)

박명규. 2003. “소국주의와 대국주의를 넘어서”. 『창작과 비평』 122: 126-145.

박명규. 2002. “지식운동의 근대성과 식민성: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62: 141-168.

박명규. 2001. “식민지 역사사회학의 시공간성에 대하여”. 석현호 외 저.『현대 한국사회 성격논쟁 – 식민지, 계급, 인격윤리』. 전통과현대. pp. 35-57. 

박명규. 2001. “역사적 사건의 상징화와 집합적 정체성: 기념비, 조형물의 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 23(2): 31-56.

박명규. 2001. “타이완 ‧ 마카오 ‧ 홍콩 ‧ 션젼을 다녀와서”. 『창작과비평』 113: 278-286.

박명규. 2001. “한말 ‘사회’ 개념의 수용과 의미체계”. 『사회와 역사』 59: 51-82.  (한국사회사학회)

박명규. 2000. “정치변동과 역사해석”.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3: 171-232.  (Korean Culture Studies Center)

박명규. 2000. “한반도 통일과 비정부기구의 역할”. 남북나눔연구위원회 편. 『21세기 민족화해와 번영의 길』. 크리스챤서적. pp. 287-306.

Park, Myoung-Kyu, and Kyung-Sup, Chang. 1999. “Sociology between western theory and Korean reality: Accommodation, tension and a search for alternatives”. International Sociology 14(2): 139-156.

박명규. 1999. “복합적 정치공동체와 변혁의 논리”. 『창작과 비평』 107: 8-26.  (창작과 비평사)

박명규. 1998. “한말 일제하 일본인 대지주의 존재형태”. 『한국학보』 84:   (일지사)

박명규. 1998. “한국의 시민사회와 민족주의”. 『철학과 현실』 37: 70-84.  (철학연구회)

박명규. 1998. “근대 한국의 타자인식의 변화와 민족정체성”. 지승종 외 저.『사회사연구의 이론과 실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명규. 1997. “역사적 경험의 재해석과 상징화”. 『사회와 역사』 51: 41-76.  (한국사회사학회)

박명규‧김영범. 1997. “해방후 한국의 문화변동”. 한국사회사학회 편.『한국현대사와 사회변동』(사회사연구총서 3). 문학과지성사. pp. 197-221.

박명규. 1997. “통제의 제도화와 대학자율화의 모색”. 서울대학교 교수민주화운동 50년사 발간위원회 엮음.『서울대학교 교수민주화운동 50년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박명규. 1996. “중앙아시아 한인의 집합적 정체성과 그 변화”. 한국사회사연구회 엮음.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제 48집. 문학과지성사. 11-54.

박명규. 1996. “동아시아적 문제의식과 동양학에의 기대(정문길‧최원식 외 엮음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지성사 1995)”. 『창작과비평』 92: 385-388.

박명규. 1996.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특성”. 『세계의문학』 96(여름호) (민음사)

박명규. 1996. “민족과 민족 문제”. 『한국사회학』  (한국사회학회)

박명규. 1995. “한국근대사와 사회사연구”. 『한국학보』 80 (일지사)

박명규. 1995. “개항과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동북아』 1: (동북아연구소)

박명규. 1994. “명치일본의 국가와 사회”. 『아시아문화』 10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박명규. 1994. “개화파와 도막파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근대지향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42: 34

박명규. 1994. “고부지방 농민층의 존재형태. 『전라문화논총』 7:20

박명규. 1994. “국제화, 지역화 속의 한국사회”. 『경제와 사회』 22/21: 26

박명규. 1994, “국제화 시대의 민족과 민족문제”. 한국사회학회 편.『21세기의 한국 사회학』. 문학과 지성사. 

정창렬‧최원식‧박명규‧김기정. 1994. “좌담: 1894년을 다시 본다”. 『창작과비평』 83: 8-57.

박명규. 1993. “島山의 民主的 組織論”. 도산사상연구회 편.『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연구사. pp. 251-278.

박명규. 1993. “조선말기 향촌사회의 갈등구조: 영광지방 민장사례분석”. 『한국문화』 14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박명규·한완상. 1992. “한국사회연구와 한국전쟁연구”. 한국사회학회 편.『한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 풀빛. pp. 3-19.

박명규. 1992. “討幕維新期의 농민저항”.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34: 11-32.  (한국사회사연구회, 문학과 지성사)

박명규. 1992. “조선말기 전북지방의 토지문제: 역둔토를 중심으로”. 『전라문화연구』 6: 1-14.  (전라문화연구소)

박명규. 1991. “일본사 연구에 있어서의 객관성과 비판성(김용덕 『일본근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지식산업사 1991, 윤건차 『현대일본의 역사의식』, 한길사 1990)”. 『창작과비평』 74: 432-443.

박명규. 1991. “낡은 논리의 새로운 형태–宮嶋博史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비판”. 『한국사연구』 75: 157-184.  (한국사연구회)

박명규. 1989. “일제하 수리조합의 설치과정과 그 사회경제적 결과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20: 171-208. (성곡학술문화재단)

박명규. 1988. “韓末 地方社會 商品流通의 構造와 變動”. 논문집 11  (韓國社會史硏究會)

박명규. 1987. “農民運動의 階層的 性格”. 서울대 사회학연구회 편, 최홍기 교수 정년기념[한국자본주의와 공동체이론]  (한길사)

박명규. 1987. “東學의 宗敎的 傳承과 社會運動”. 『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7: 49-83.  (韓國社會史硏究會)

박명규. 1986. “植民地 地主制의 形成背景-全北地域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2(한국근대농촌사회와 일본제국주의): 11-56.  (韓國社會史硏究會)

박명규. 1985. “日帝下 全北의 農民運動”. 『南民』2 (지양사)

박명규. 1985. “韓國社會史硏究 40年-社會學界의 成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19 

박명규. 1984. “日帝下 自作農創定計劃에 대한 考察”. 『韓國學報』 37 (一志社)

박명규. 1984. “農民層의 階級區分方式에 관한 考察”. 『韓國社會學硏究』 7  (서울대사회학연구회)

박명규. 1983. “島山 安昌浩의 社會思想”. 『韓國學報』 33 (一志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