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 오늘의 화두

사필귀정

헌재의 판결을 보고 난 후 많은 사람들이 입에 올린 글귀가 ‘사필귀정’이었다. 모든 일은 결국 바르게 해결된다는 사자성어로 정의는 마침내 승리한다는 뜻으로도 종종 해석된다. 옳은 일을 하다가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겐 마음에 위안이 되는 경구임은 분명하다. 일의 결국이 좋을 것을 믿는 믿음은 난관을 견디게 하는 힘이 된다.

물론 현실이 늘 이 말을 증명해주진 않는다. 옳은 행위를 추구하는 사람이 반드시 성공하거나 그 뜻을 이룬다는 보장이 없다. 때로는 편법을 일삼는 사람이 위세를 부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무엇이 ‘바른 결과’ 인가를 둘러싸고 사람들의 이견도 해소되기 어렵다. 얼마나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그 마지막 결과를 볼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정답도 있기 어렵다. 사후세계에 대한 종교적 믿음이 아닌 한 한 세대를 지나서야 ‘귀정’의 결말이 나타나는 과정을 견뎌내기는 힘들다.

이번 탄핵인용을 두고서 ‘사필귀정’이란 말을 입에 올리는 사람들의 생각도 각양 각색일 수밖에 없다. 야당의 입장에서는 탄핵인용으로 당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벗고 권력을 장악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점에서 이미 ‘귀정’의 큰 걸음이 내디뎌진 것이라 볼 것이다. 탄핵인용을 환영하지만 민주당에 호감을 갖지 않는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헌정질서가 회복되고 극단적 분열을 방지할 여건이 마련된 것을 ‘귀정’이라 여길 것이다. 반면 대통령의 복귀와 이재명의 유죄판결을 ‘바라고 있던 사람들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그들만의 ‘귀정’에 대한 집착과 반감을 견지할지 모른다.

앞으로 벌어질 대선정국과 그 이후의 사태진전을 겪으면서 이 말은 끊임없이 재해석될 것이다. 사실 이 말은 완료태로 해석되어선 안된다. ‘귀정’을 독점하는 세력의 정당화 논리로 변질되는 것은 더더욱 피해야 한다. 이 말은 향후에 이루어질 상태를 소망하는 미래형 명제이고 모두가 함께 이루어야 할 책임을 담은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헌재의 결정이 ‘사필귀정’의 중요한 국면임은 분명하지만 이후의 사태진전이 모두가 바라는 ‘귀정’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고 불투명하다. 역사와 타자 앞에 더욱 겸손해져야 할 이유다. 그런 마음을 담아 정성스레 네 글자를 썼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