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일 오늘은 결혼 41주년이 되는 날이다. 눈을 감고 생각하니 노경혜를 아내로 맞아 가족을 이루고 지내온 지난 세월이 주마등같이 지나간다. 신혼시절 전주, 서울, 부산을 오가던 일, 두 딸 선영과 윤영을 얻은 일, 하바드대학으로 연구년을 떠난 일, 그곳에서 아들 종인을 얻은 일, 전주에서 첫 아파트를 장만한 일, 부모님 질환으로 예수병원을 수없이 오가던 일, 어머님 소천하신 일, 서울대학교로 직장과 집을 옮긴 일, 아버님 수술 후 돌아가신 일, 강남에 내 아파트를 구하고 이사한 일, 아내가 권사 취임한 일, 두 딸이 결혼하고 두 사위를 얻은 일, 네 명의 외손주를 보게 된 일, 서울대를 정년하고 광주과기원 석좌교수로 부임한 일, 세종으로 이사를 한 일 등…
부부의 인연이란 참 묘한 것이다. 아내는 결혼 2년전 이대 대학원에 재학중일 때 선배의 소개로 만났었다.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었는데 다소곳하며 차분했다. 눈매가 곱고 사람을 편하게 해 주어 마음에 들었지만 쾌활하거나 적극적인 스타일은 아니었다. 나도 재미있는 대화거리를 찾는데는 재주가 없는 탓에 우리의 데이트는 늘 첫 미팅하는 사람 마냥 데먼데먼 했던 것 같다. 처가 부산여전에 교수로 채용되어 처가가 있는 부산으로 내려간 후에는 한동안 만나지도 못했다. 이후 다시 연락이 닿았던 때 곧바로 부산으로 달려간 날이 생각난다. 그 날의 재회가 결혼으로 이어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육사 교수부에서 지내던 3년의 교관생활은 재미있었지만 살림살이가 힘들었다. 내 적은 교관 월급으로 정년 후 서울로 올라오신 부모님과 대학을 다니던 동생 양규의 생활을 지탱해야 했다. 1983년 새해 첫날을 나는 기도원에서 보냈는데 군복무가 끝나는대로 가능하다면 직장을 얻기를 기도했다. 또 결혼이 대책일리도 없었을텐데 결혼할 수 있기를 원했다. 놀랍게도 9월부터 전북대학교 교수로 임용이 되었고 10월에 결혼식을 올렸으니 100 퍼센트 응답이 된 셈이다. 아내가 다니던 부산의 한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는데 장소가 낯설어서였는지 먼길 오신 하객들에 대한 송구한 마음때문이었는지 마음이 부산했고 내가 자주 웃었다고 친구들의 핀잔을 들었던 기억이 남아있다.
제주로의 신혼여행을 다녀온 후 나는 전주에서 하숙생활을 계속했고 아내는 처가가 있는 부산에서 직장생활을 했다. 결혼 후 주말마다 서울, 부산, 전주를 오가느라 힘들었던 생각이 난다. 아내가 전주로 직장을 옮긴 후 우아아파트 16평 전셋집에서 본격적인 신혼생활을 시작했는데 그 작은 아파트가 좁게 느껴지지 않던 시절이었다. 그 후 41년을 살아오면서 아파트 평수도 늘어나고 큰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살아왔고 경제적으로도 큰 어려움에 처하지 않았으니 감사한 일이다. 서울대 교수로서 뛰어난 제자들을 만났고 정년 후에도 석좌교수로 가르치는 복을 누리고 있다.
무엇보다도 1남 2녀의 소중한 아이들을 선물로 얻은 것이 가장 큰 기쁨이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가정을 꾸리기 위한 마음 준비는 제대로 못했던 것 같다. 남편으로서의 역할, 자식으로서의 역할, 아빠로서의 역할이 어떠해야 할지 조언을 구하거나 배우려는 생각도 없었다. 그냥 저절로 잘 되리라는 막연한 생각이었던 것 같다. 좋은 교수가 되려고 애썼던 것에 비해 좋은 남편과 부모가 되기 위한 노력은 부족했던 것이다. 가끔씩 어머니의 서운해 하시는 모습과 처의 힘들어하는 모습 사이에서 갈팡질팡한 적도 있었고 자라나는 아이들의 마음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한 채 내 욕심을 강변하기도 했다. 가족들에게 늘 감사하고 고마운 마음인데 또 다른 한켠에 미안한 마음도 자리하고 있는 이유다.
결혼 41주년을 맞이하여 그간의 삶을 돌아보니 감사한 것 일색이다. 할머니와 어머니의 기도 덕분일 것이다. 간간히 이런 저런 아쉬움이 생기고 마음이 어지러울 때면 ‘내 은혜가 네게 족하다’는 말씀을 생각한다. 넘치는 복을 받은 41년이 아니었던가. 나의 나된 것은 다 하나님 은혜라는 찬송가사를 떠올린다. 진심으로 감사한다. 내가 받은 이 축복이 자녀들에게 이어지기를 기도한다. 세상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요동하겠지만 봄 새싹의 신선하고 역동적인 생명력으로 잘 이겨낼 힘을 얻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