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 오늘의 화두

어부사와 취중용기

세상 사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참 비슷한 모양이다. 중국 옛글 어부사를 보면 “세상이 모두 오염되었는데 나만 깨끗한 탓에 쫒겨났다”는 굴원과 “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고 물이 탁하면 발을 씻으면 될 뿐”인데 스스로 화를 자초했다고 핀잔하는 어부의 대화가 나온다. 자기 원칙을 지키려 세상과의 불화를 피하지 않는 태도와 세상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처세의 선연한 대조다. 작금 우리 사회에서도 낯설지 않을 내용이어서 간간히 음미해보게 되는 글이다.

어제 아침 안팎의 소식이 우울해 어부사를 써보며 심란함을 달래려 했다. 하루 종일 애는 썼는데 붓끝은 자꾸 흔들리고 자획도 고르지 못해 오히려 지치기만 했다. 실력이 따르지 못하는데 과욕을 부리는구나 생각하고 벼루를 정리한 후 와인을 두어잔 마셨다. 그런데 약간의 취기가 동하니 갑자기 잘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다시 먹을 갈고 붓을 잡았는데 과연 필획에 힘이 느껴지고 붓놀림도 자유로와 신이 났다. 취중에 멋진 서화를 남기셨던 삼불 김원룡 교수의 일화를 떠올리며 나도 그럴 수 있겠구나 생각도 했다. 포도주 한두잔에 간이 이처럼 커지다니….ㅎㅎ

아침에 일어나 다시 보니 모든 글자가 다 제 잘난 맛으로 도드라진 형국이어서 보기 민망했다. 약하고 세밀한 부분이 없이 모든 글자가 강한 필획으로 이어져 단조롭고 답답하다. 영화 취권을 보면 고수에게 술은 허술한 듯 여백을 키우는 도구일 뿐인데 오히려 술기운데 취해 강약의 조화를 깨트린 하수의 어리석음이 글자 곳곳에 녹아있는 듯했다. 붓을 쥔 손이 떨리지 않고 언제나 기계처럼 강한 획을 쓸 수 있는 것이 좋은 글씨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떨림과 빈구석은 약함의 표지가 아니고 오히려 개성적 미학의 기반인 셈이다.

낯뜨거운 주장과 상스런 공격을 주저없이 내뱉는 일이 다반사가 된 요즈음은 모두 취중용기를 강조하는 시대 같다. 국내정치든 국제정치든, 개인이든 집단이든 약육강식이 당연한 듯 뻔뻔함과 즉물성이 취중 호언장담처럼 퍼지고 있다. 상호이해와 협력을 강조하고 포용력과 유연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좌우 어디서도 힘을 얻지 못하는 느낌이다. 스스로 단호하고 힘이 있다고 느끼지만 결과적으로 공존과 조화의 역량을 약화시키는 흐름이 아닐 수 없다. 세상사가 마음같지 않은 요즈음 자칫 취중용기에 내 자신을 내맡기려는 경향은 없는가 되돌아본다. 와인 두어잔에 자고했던 해프닝을 돌아보면서 강함만이 능사가 아니며 약함과의 공존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중요한 자산임을 아는 사람들이 존중받는 사회가 되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