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계속이다. 에어컨을 켜고 산과 강을 찾아도 열대야의 고통을 참기가 어렵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교훈을 따라 여름을 노래한 두 편의 시를 화선지에 담았다. 서울대 화묵회 전시회 출품작으로 준비한 것이지만 무더위와 싸우는 내 나름의 방편이기도 했다.
두보의 夏夜歎은 ‘여름밤의 탄식’이란 제목 그대로 참기 어려운 무더위 속에서 나온 시다. 시인은 푹푹 찌는 열기 속에서 ‘만리청풍’을 기대하면서도 달, 빛, 바람, 벌레 등 만물이 크고 작음의 구별없이 제 스스로 편안코자 하는 것이 본성임을 확인한다. (物情無巨細 自適固基常) 이런 깨달음은 후반부에서 변방의 병사들의 고통스런 모습에 대한 연민으로 이어져 세상사에 대한 탄식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나는 자적의 소중함을 노래한 전반부를 행초로 썼다.
안도현의 시는 여름으로 오는 길목에 만나는 싸리꽃, 산벌, 칡꽃 향기, 백도라지 미동, 소나기 소리, 매미울음 등을 ‘공양’이라는 화두 속에 담았다. 뭇 생명의 소리와 향기와 미동이 제각기 무언가를 향한 정성스런 기원이라고 본 시인의 시선이 놀랍고 그 무게감을 근, 평, 치, 발, 되 같은 척도로 표현한 신선한 발상이 아름답다. 이런 시인의 서정에 공감하면서 나도 대상마다 서로 다른 서체로 작품을 구성했다.
나라 안팎의 인간사를 보면 ‘탄식’을 금하기 어려운 요즈음이다. 무더위가 더하는 짜증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만물이 제각각의 아름다움, 지극함, 기원과 정성들을 지니고 있다는 섭리를 확인하는 것은 이런 답답함을 이기게 하는 소중한 깨달음이다. 힘든 더위와 성가신 벌레 조차도 우주와 나를 이어주는 생명 연쇄의 고리임을 확인한다면 두보와는 달리 ‘탄식’에서 시작해서 ‘감탄’으로 끝나는 발상의 전환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모든 분들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기원한다.


탄식이 감탄으로…
대단!
一切唯心造。